
스프링 캐시 동작 과정 분석
·
Spring
프로젝트에 스프링 캐시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내부 구현이 되어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. @Cacheable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캐시 조회 기능을 사용했을때 어떻게 동작하는지 위주로 분석해보겠습니다.캐시 호출 시 가장 먼저 동작하는 클래스는 CacheAspectSupport이다. 해당 클래스는 AOP를 사용해 스프링 캐시의 구체 기술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. 해당 클래스 내의 execute() 메서드가 호출되면 findCacheValue()라는 내부 메서드가 호출되서 캐시값을 가져온다. findCacheValue() 메서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. findCachedValue() 메서드 내부에 findInCaches()라는 메서드가 하나 더 있는걸 볼 수 있다. ..